베이징 올림픽 때 한창 상승세를 보여주다가, 갑자기 우크라이나 VS 러시아 전쟁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트론(TRX) 코인 이슈와 앞으로의 시세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론(TRX) 이란?
트론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시스템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디앱(dApp)을 개발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중앙화 된 주체 없이 사용자와 개발자, 그리고 광고주들 간에 직접적인 콘텐츠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은 영상이라는 콘텐츠를 제작해서 공유하려면,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통한 다음, 그 영상으로 얻은 수익을 구글이라는 중앙화 된 주체에게 셰어 해서 나눠가져야 하지만, 트론을 이용하게 되면 이러한 중앙화 된 주체를 없어져버리게 되고 중개수수료 발생하지 않아서, 결국에는 개발자와 광고주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트론 (TRX) 토큰
트론 토큰 TRX는 트론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결제 및 보상 수단, 그리고 트론의 디앱들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연료의 용도로 사용이 됩니다.
트론 코인 최신 이슈
트론 코인 창시자인 저스틴 선이 어제 본인의 트위터 계정에, 트론이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분야에 진입을 시작할 것이라고 포스팅하였습니다.
그의 전반적인 포스팅 내용을 살펴보면 트론의 USDD 진입은 2022년 5월 5일로 예정되어 있고, 이 날이 바로 트론 탈중앙화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이 출시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들어 있었습니다.
USDD에 대해서 제가 알아본 결과, 이번에 출시될 트론의 스테이블 코인으로 USDD가 1달러를 하회할 때, 이용자와 차익거래자는 1USDD를 1달러의 가치의 TRX 코인과 교환할 수 있고, 반대로 USDD가 상회할 때는에는 1달러 가치의 TRX를 1 USDD로 교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다른 스테이블 코인이 작동하는 방식과 똑같은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이러한 소식으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5월 5일 이후로 트론이 300%이상 떡 상승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는데요. 과연 그들의 예상대로 5월 5일에 트론이 다시 상승세를 되찾을 수 있을지... 그렇다면 지금 주워 담아야 되나...? 몹시 고민 중인 상황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위에 설명드린 트론 코인의 최신 이슈에 대해서 이해를 하시려면,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보다 안정적인 자산을 가치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 유형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스테이블 코인을 미국 달러와 같은 법정 통화와 연결된 것으로 언급하지만 귀금속 또는 기타 암호화폐와 연결된 가치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위에 언급한 트론의 스테이블 코인 출시 이슈에 대한 부분은, 앞으로 달러 시세에 따라서, 트론 1달러 어치를 1 USDD로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트론에 대한 앞으로의 시세전망
트론은 애초에 엔터테인먼트 플랫폼과 같은 콘텐츠 제작자와 사용자 간의 중개자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코인입니다. 시가총액 22위임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백서 자체는 이더리움 코드를 표절하여 많은 비판을 받았던 코인이기도 합니다.
프로젝트는 6개 주요 단계를 구성하고 있는데, 사실 이 프로젝트를 싹 다 알필요는 없고, 그 프로젝트의 처음과 끝 정도의 방향성만 파악하면 이해하기가 수월합니다.
확인을 해보면, 이 프로젝트의 첫번째 단계는 토큰 교환 및 개별 ICO를 허용하는 분산 플랫폼 생성을 포함하고 있고, 마지막 단계는 게임 산업의 탈중앙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 들의 모습을 확인해보면, 확실히 트론은 탈중앙화 플랫폼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으나, 창업자인 저스틴 선이 대표직에서 물러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 프로젝트가 계속 발전되어 갈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 조금 우려스럽습니다.
거기다가 최근 저스틴 선이 FBI에게 수사를 받고 중국에 찍혀서 중국에 입국을 못하는 모습과 여러 가지 자금 세탁, 비리 등의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트론 플랫폼의 발전 전망과 가능성만으로는 접근하기가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혹시나 5월 5일에 트론코인의 스테이블 코인 출시 호재 때문에 진입을 망설이시다가 이 포스팅 글을 보신 분이 있다면, 매우 매우 신중하게 다시 생각해보실 것을 권해드리며, 진입을 선택하시더라도, 분할 매수 & 소액 진입을 할 것을 당부드립니다.
댓글